많은 분들이 회사를 자진퇴사했을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헷갈려 하십니다. 일반적으로 실업급여는 권고사직이나 해고와 같은 비자발적 퇴사자에게 주어지지만,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자진퇴사자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오늘은 자진퇴사 실업급여 신청방법, 금액, 조건을 자세히 정리해 드리니 놓치지 말고 끝까지 확인하세요!
✅ 자진퇴사 실업급여 신청 조건
1. 불가피한 사유가 있어야 함
- 임금 체불(급여 미지급)
- 직장 내 괴롭힘·성희롱·폭행
- 근로조건 악화 (계약 위반, 근무시간 변경 등)
- 건강 악화로 인한 퇴사 (의사 소견 필요)
- 사업장의 휴업·폐업 등
이러한 경우에는 자진퇴사로 처리되더라도 ‘비자발적 사유’로 인정되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.
2. 고용보험 가입기간 충족
- 최소 180일 이상(6개월) 고용보험 가입 필요
- 퇴사 전 18개월 동안 기준 충족해야 함
3. 적극적 구직활동 의지
- 구직활동(면접·취업사이트 등록 등)을 증명해야 하며
- 고용센터에서 진행하는 구직활동 교육 필수 참여
✅ 자진퇴사 실업급여 신청방법
1단계: 퇴사 후 이직확인서 확인
- 회사가 고용보험에 ‘이직확인서’를 제출해야 합니다.
- 제출 사유가 정확히 “자진퇴사(정당 사유 인정)”인지 꼭 확인하세요.
2단계: 워크넷 구직등록
- 워크넷(www.work.go.kr)에서 회원가입 후 이력서를 등록합니다.
- 구직활동 의지를 증명하는 첫 단계입니다.
3단계: 고용센터 방문 신청
-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해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을 합니다.
- 구비서류: 신분증, 통장사본, 이직확인서 등
4단계: 교육 수강 및 인정
- 실업급여 신청자는 반드시 구직활동 온라인 교육 또는 집체교육을 받아야 합니다.
- 교육을 이수해야 첫 지급이 가능합니다.
✅ 자진퇴사 실업급여 금액 계산 방법
실업급여는 ‘퇴직 전 3개월 평균 임금’에 따라 달라집니다.
- 기본 지급액: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%
- 최소 금액: 최저임금의 80% 수준
- 최대 금액: 1일 7만원(2025년 기준)
예시) 월 250만원 받던 직장인이 퇴사 →
250만원 ÷ 30일 × 60% = 하루 약 50,000원 → 1개월 약 150만원 수급 가능
✅ 자진퇴사 실업급여 지급 기간
가입 기간에 따라 지급 기간이 달라집니다.
- 고용보험 1년 이상 ~ 3년 미만: 120일 지급
- 3년 이상 ~ 5년 미만: 150일 지급
- 5년 이상 ~ 10년 미만: 180일 지급
- 10년 이상: 최대 270일 지급
즉, 오래 근무할수록 더 긴 기간 동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자진퇴사 실업급여 신청 시 유의사항
- 반드시 퇴사 사유가 ‘정당한 자진퇴사’로 인정돼야 함
- 교육 불참 시 지급이 보류될 수 있음
- 구직활동 미인정 시 지급 중단 가능
🎯 결론: 자진퇴사라도 실업급여 가능!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
많은 분들이 “자진퇴사는 무조건 실업급여 불가”라고 오해하지만,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얼마든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반드시 고용보험 가입기간, 퇴사 사유, 구직활동 의지 등을 충족해야만 지급이 가능하니 조건을 꼼꼼히 확인해 보세요.
👉 놓치지 말고 지금 바로 워크넷 구직등록 후 고용센터에서 신청하세요!
이번 주 인기있는 글 BEST 5
서울세계불꽃축제 2025 티켓 신청방법 – 한화투자증권 이벤트로 불꽃 티켓 받는 법
서울 가을의 하이라이트, 서울세계불꽃축제 2025가 돌아옵니다.올해는 9월 27일(토)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개최되며, 매년 100만 명 이상이 모이는 서울 대표 축제죠.특히 이번에는 한화투자증권이
seed.e-cozy.co.kr
병원비 환급금 놓치지 마세요! 지금 바로 조회하는 방법
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병원비는 누구에게나 큰 부담입니다. 하지만 우리가 낸 병원비 전액이 최종 비용은 아닙니다. 알고 보면 병원비 환급금 제도를 통해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는데요. 문제는
seed.e-cozy.co.kr
비엣젯항공 수화물 신청 방법, 까스활명수·진득이 패치스프레이 위탁 대상 조회
비엣젯항공 수화물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위탁수화물 규정!여행 중 꼭 챙기고 싶은 까스활명수와 진득이 패치스프레이, 위탁수화물로 가능한지, 몇 병까지 가져갈 수 있는지 대상 조회를
seed.e-cozy.co.kr
증여세 면제 한도액 2025년 기준 총정리와 절세 전략
요즘 부모님이 자녀에게 자산을 증여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‘증여세 면제 한도액’에 대한 관심도 뜨거워지고 있습니다.하지만 막상 증여를 준비하려고 하면 “얼마까지는 세금이 면제되지?
seed.e-cozy.co.kr
증여세 신고 방법, 기간, 서류 (홈택스, 전자신고)
증여를 받았다면,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? 바로 증여세 신고입니다.이번 글에서는 증여세 신고 방법부터 기간, 제출 서류, 홈택스를 통한 전자신고 방법까지 아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 ✅ 증여
seed.e-cozy.co.kr